본문 바로가기
공부한 흔적/[K-MOOC] 한국 독립운동의 역사

[K-MOOC]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2강 요약

by 비우내포 2022. 3. 31.
반응형

[K-MOOC]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2강 요약

 
[K-MOOC]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바로가기
http://www.kmooc.kr/courses/course-v1:IHK+IHK01+2021-01-1/about
 
2강 일제의 침략과 국권침탈
1. 19세기 말 국제 정세
 - 19세기 말 한국
  → 중국 중심의 세계 질서에 벗어나 근대적 국제 질서로 전환 되었던 시기
  → 서구 열강과 일본의 제국주의 침략에 대처 했던 시기
  → 내부적으로 신분의 차별을 극복하면서 근대 민족국가를 수립하고자 노력했던 시기
  → 조선왕조의 양반관료 체제 붕괴
  → 세도정치로 인한 과거제도 문란, 국가 기강 해이
  → 지방관의 탐학으로 농민들의 조세부담 과중, 자연재해 발생
  → 산업혁명 이후 서구 제국주의 열강은 세계 질서를 동요시키면서 값싼 원료공급지 확보와 시장 개척을 위해 동아시아 진출
  → 서구 제국주의 열강에 의하여 중국과 일본의 개항
  → 지식인과 일반 민중들은 위정척사운동, 개화운동, 동학농민운동 등을 전개하여 위기를 극복하고자 함
 
 - 조선의 정세
  → 1864년 정권을 장악한 흥선대원군과 재야의 척사 유생 : 체제 내의 개혁을 단행하면서 철저히 외세를 배격하는 정책 추진
  → 1876년 강화도 조약 체결에 위정척사론자들의 상소 운동이 이어지고 김홍집이 일본에서 들여온 황쭌센의 『조선책략』이 
      조정에 의해 수용되자 전국적인 위정척사운동이 전개됨
  → 영남만인소 → 복합상소 → 반정부 운동(개화파 인사 공격)
 
 - 개화 지식인들의 개화운동 전개
  → 개항 이후 프랑스, 영국, 독일 등 서양 열강과 통상 조약을 체결하고 근대 문물 수용
  → 정부와 민간 주도의 학교가 설립되고 한편에는 선교사들에 의해 기독교 학교 설립
  → 일본과 중국에 유학생 파견하는 등 적극적인 개화정책 추진
  → 급진개화파와 온건개화파 간의 개화 정책 이견으로 '갑신정변' 발생
  → 갑신정변의 진압 이후 동도서기론의 입장에서 개화정책 추진
  → 일부 척족세력에 집중되는 세도정치가 다시 성행하면서 정부의 정책은 친청보수적 성격이 강화됨
 

 

 

 
 - 동학농민전쟁과 청일전쟁
  → 최제우에 의해 1860년 창도된 동학
  → 봉건적 신분제 부정, 평등사상에 입각한 민족 종교로 발전
  → 삼남지역, 강원도, 황해도 일대 지역까지 교세 확대
 
2. 일제의 침략과 조선의 위기 극복 노력
 - 동학농민전쟁과 청일전쟁
  → 1894년 1월 고부 군수 조병갑의 탐학에 일어난 고부 민란
  → 민란 수습을 위해 파견된 안핵사의 탄압이 대대적인 동학의 봉기로 이어짐 → 동학농민전쟁 시작
  → 동학농민군의 승리 → 정읍 황토현, 장성 황룡촌 → 전주성 점령 → 전주화약
  → 지역 곳곳에 집강소를 설치하여 폐정개혁 단행
  → 1894년 6월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 → 재봉기 → 우금치 전투 패배 → 철저한 탄압
  → 동학농민군의 진압을 위해 외세를 끌어들인 민씨정권은 청일전쟁의 원인을 제공
  → 일본이 전쟁에 승리하면서 조선에는 친일정권이 성립되고, 이어 단발령, 화폐제도 통일 등의 급진적인 조치 실시 → 의병 봉기
 
 - 전기의병의 전개
  → 유성의병(문석봉) → 공주부에서 관군과 전투
  → 제천의병(유인석) → 충주성 점령 → 국외 이동(독립운동 기지 개척)
  → 안동의병(김도화), 진주의병(노응규), 이천의병(김하락), 춘천의병, 관동의병(민용호)
 
 - 광무개혁과 독립협회 운동
  → 삼국간섭 → 일본 세력 약화 → 외세에 의한 외압의 균형 → 정부와 민간의 개혁운동
  → 대한제국 수립, 광무개혁 실시(1897년)
  → 광무개혁: 의정부 복원, 지방 및 군 체재 개편, 양전·지계 사업 등
  → 독립협회(1896년)
  → 주권 수호, 민권 신장 운동을 통한 근대적 국민국가 수립
  → 독립문 설립, 독립신문 창간, 의회설립운동(국민참정권운동), 만민공동회 개최
 

 

 

 
3. 을사늑약과 통감부의 설치
 - 러일전쟁과 을사늑약
  → 1904년 2월 러일전쟁 발발 → 대한제국 정부의 국외중립 선언
  → 일본의 궁궐 점령과 한일의정서(일본의 군사적 요지 사용) 강요
  → 1904년 8월 제1차 한일협약 : 재정과 외교 고문을 파견하여 대한제국의 외교·재정권을 간섭
     → 화폐정리사업(민족자본 형성 저지), 독도 강탈(1905)
  → 서구 열강, 일본의 대한제국 지배권 인정
  → 1894년 6월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 → 재봉기 → 우금치 전투 패배 → 철저한 탄압
  → 동학농민군의 진압을 위해 외세를 끌어들인 민씨정권은 청일전쟁의 원인을 제공
  → 일본이 전쟁에 승리하면서 조선에는 친일정권이 성립되고, 이어 단발령, 화폐제도 통일 등의 급진적인 조치 실시 → 의병 봉기
 

study,공부의 흔적,온라인 강의,학점은행제,mooc,k-mooc,한국독립운동의 역사,독립기념관,독립운동,국권침략,일제침략

728x90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