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공부한 흔적/[K-MOOC] 한국 독립운동의 역사

[K-MOOC]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1강 요약

by 비우내포 2022. 3. 26.
반응형

[K-MOOC]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1강 요약

 
[K-MOOC]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바로가기
http://www.kmooc.kr/courses/course-v1:IHK+IHK01+2021-01-1/about

 

1강 한국 독립운동의 의미
1. 한국독립운동의 전개와 이해
 - 일제의 침략에 맞선 각계각층의 움직임
  → 의병
  → 1894년 경복궁 점령사건, 을미사변 → 전기의병
  → 러일전쟁 발발, 을사늑약 체결 → 중기의병
  → 고종황제 퇴위와 군대 해산 → 후기의병
  → 상소, 순국 자정, 의열투쟁
 
 -  애국계몽운동(신민회)
  → 1910년 경술국치 이후 민족운동가들의 국외 망명
  → 중국 관내 및 만주, 러시아 연해주, 미주지역에서의 독립운동 전개
  → 1919년 3·1 운동을 계기로 독립운동 기반 확대
  →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, 활발한 무장투쟁, 학생운동, 농민운동, 노동운동, 청년운동의 조직적 전개
 
 - 1920년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침체
 - 1931년 일제의 만주 침략을 계기로 한중 연대를 기반으로 한 독립전쟁 지속
 - 1932년 윤봉길 의거를 통한 독립운동의 전환점 마련
 - 1940년대 중일전쟁과 제2차 세계대전으로 제국주의의 균열 징후가 나타나자 이를 기회 삼아 더욱더 활발한 독립운동 전개

 

 

2. 독립운동의 이념
 - 좌우익이 대한민국임 임시정부로 연합하고, 중국·미국과 연합하여 독립운동을 계속함
 - 한말의 의병투쟁, 애국계몽운동 : 다른 이념, 동일한 목표
  → 유생·농민 중심의 의병투쟁은 근왕주의
  → 개화 지식인 중심의 애국계몽운동은 공화주의를 지향
 
 - 3·1운동을 계기로 노선과 이념의 차이가 극복됨
  →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고 민주공화제 표방
 
 - 1920년대에 들어 다양한 이념 등장
  → 자유주의, 사회주의, 무정부주의 이념 등을 바탕으로 독립운동 단체 결성
 
 - 1930년대 독립운동 정당 결성, 좌우익의 독립운동 정당들의 통일운동 추진
 - 1941년 11월 대한민국 건국강령 제정·공표
  → 좌우 독립운동 정당의 공통 가치인 삼균주의에 기초

 

 

3. 독립운동의 특징과 의의
 한국독립운동의 지속성, 세계성, 다양성
 

study,공부의 흔적,온라인 강의,학점은행제,mooc,k-mooc,한국독립운동의 역사,독립기념관,독립운동

728x90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