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공부한 흔적/[K-MOOC] 부산과 영화 (2021)

[K-MOOC] 부산과 영화 6~8강. 끝

by 비우내포 2022. 2. 21.
반응형

2022.02.21 - [공부한 흔적/[K-MOOC] 부산과 영화 (2021)] - [K-MOOC] 부산과 영화 5강

2022.02.21 - [공부한 흔적/[K-MOOC] 부산과 영화 (2021)] - [K-MOOC] 부산과 영화 3~4강

2022.02.21 - [공부한 흔적/[K-MOOC] 부산과 영화 (2021)] - [K-MOOC] 부산과 영화 1~2강

2022.02.21 - [공부한 흔적/[K-MOOC] 부산과 영화 (2021)] - [K-MOOC] 부산과 영화 강좌 소개

 

[K-MOOC] 부산과 영화 

 

 

 # 6-1  메이드 인 부산 극영화

 

• 메이드 인 부산 영화의 침체

 • 산업적 영향

   - 한국영화 제작비 단기간 급증

   - 부산영화와의 격차 발생

   - 인력 유출

   - 충무로 중심의 한국 영화 산업 구조 급변

   - 한국영화 수익률 급감

   - 부산 출신 인력의 역외 유출 현상 가속화

 

 • 지역 영화 육성 정책 미비

   - 부산국제영화제 중심의 영화 정책

   - 수도권 기업 유치 정책

   - 지역 영화를 주류 영화로 진입시키려는 의도

   - 창작 인력과 작품에 대한 투자와 지원 부족

   - 후반작업기지, 영화의전당, 제 2스튜디오 등 건립

   - 제작 활성화 정책 미흡

   - 인력의 역외 유출 현상 심화

 

• 부산 영화 Reboot

 - 부산영상위원회 장편극영화 제작 지원 확대

 - 편당 3,000만원 X 5편

 - 부산 영화계의 제작 환경에 맞는 작업 방식

 - 저예산 독립장편영화 제작 노하우 축적

 - 장르의 다양화 및 차별화된 주제 의식

 - 상업성과 예술성의 균형 추구

 



# 7-1  메이드 인 부산 다큐멘터리

• 부산 다큐멘터리 활성화 원인

 - 디지털 영상 장비 보급

 - 공적 지원 : 부산영상위원회(2013년 ~현재)

 - 창작 집단 중심의 연대와 협업

 - 오지필름, 탁주조합, 월요일 아침 등

 

• 부산 다큐멘터리의 특징

 - 폭 넓은 스펙트럼

 - 액티비즘 다큐멘터리, 다큐-에세이, 사적 다큐 등

 - 지역성을 기반으로 한 리얼리티

 - 부산의 정서, 풍경, 인간을 사실적으로 묘사

 - 높은 완성도

 - 국내외 영화제 다수 수상

 

# 8-1  디지털 시네마의 도래

• 영화의 존재론적 특징

 - 현실 복제 장치 / 영화는 본질적으로 리얼리즘적 매체

 - “외부세계를 그 복사본으로 대체하려는 심리적인 욕망이 인간이 배제된

    기계적 재현을 통해 완벽하게 충족된다.”– 앙드레 바쟁

 - 컴퓨터 그래픽의 보편화로 영화는 기록하는 매체에서 그리는 매체로 전환되고 있음

 

• 디지털 배급과 상영 방식

 - 상영용 필름 프린트 비용 절감

 - 소수 인력으로 다수의 영사기 운영 가능

 - 초고속 통신망을 이용해 전 세계 동시 개봉 가능

 - 보안 취약

 - 암호화된 디지털 파일을 이용한 상영

 

# 8-2  넷플릭스의 등장과 영화의 위기

• 유예되었던 미래

 - 오랜 기간 영화는 영화관→비디오/DVD→TV 방송의 차례로 유통되었다.

 - 여러 플랫폼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게 간주된 것은 영화관이었다.

 - OTT서비스 기술은 2000년대 중반에 이미 보편화되었음

 - 기존의 영화산업 구조를 유지시키기 위해 새로운 플랫폼 도입을 유보함

 - 코로나 19라는 돌발변수는 영화산업의 위기를 표면화 시킴

 

• 매체 융합(Transmedia)의 시대

 • 매체환경의 변화

  - 디지털 영상 장비의 도입

  - 초고속 통신망의 확산

  - 모바일 장치의 보급

 • 영상 콘텐츠 개념의 변화

  - 생산·소비·공유·재가공·평가·해석 등 콘텐츠 생산과 수용 방식 변화

  -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영상 콘텐츠 등장

 



• 미래의 영화

 - ‘영화 관람의 탈중심화’(데이비드 노먼 로드윅)

 - 영화를 ‘보러‘ 가는 것이 아니라 영화를 ‘불러‘ 오는 시대

 - 초고속 통신망과 개인용 장비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플랫폼의 등장으로 

   미래의 영화는 지금의 모습과는 많이 달라질 것으로 예상됨

 - 공동체, 즉 극장을 중심으로 한 뤼미에르식 영화는 개인들을 중심으로 한 

   에디슨식 영화에 밀려날 가능성이 큼

 

•  21세기의 관객은 대중교통으로 이동하면서 모바일 장비에 전송된 콘텐츠를 감상한다. 

   그는 크게 웃지도 못하고, 내려야할 곳을 지나치지 않기 위해 화면에만 집중하지도 못한다. 

   21세기의 관객이 보고 있는 것은 여전히 영화인가?

 

# 8-3  트랜스 미디어 시대의 부산영화.

 • 영화제의 위기

  - 영화 상영 플랫폼 다양화

  - VoD, Bluray, OTT 등 다양한 영화 플랫폼 등장

 • 영화 정보 접근성 향상

  - 해외 기사, 인터뷰, 부가 영상 등

  - 소수 전문가의 정보 독점 현상 완화

 • 다수를 위한 이벤트 중심 행사의 한계

  - 영화 이벤트 증가

  - 코로나 19 팬데믹 현상

 

온라인 강의,온라인 공개강좌,학점은행제,부산과 영화,study,mooc,김이석교수,k-mooc,공부의 흔적,무크,

728x90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