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공부한 흔적/[K-MOOC] 부산과 영화 (2021)

[K-MOOC] 부산과 영화 1~2강

by 비우내포 2022. 2. 21.
반응형

2022.02.21 - [공부한 흔적/[K-MOOC] 부산과 영화 (2021)] - [K-MOOC] 부산과 영화 강좌 소개

 

 [K-MOOC] 부산과 영화 

 

의미가 있는지 모르겠지만..

강좌자료 요약본을 정리한 내용.

# 1-1 영화도시 부산

• 2014년 부산은 아일랜드의 골웨이(Galway), 불가리아의 소피아(Sofia)와 더불어 ‘유네스코 영화 창의도시’로 선정됨

• 아시아 최초의 영화 창의도시 선정이며, 전 세계적으로 2009년 영국의 브래드포드(Bradford), 2012년 호주의 시

드니(Sydney)에 이어 세 번째로 선정된 것임

 

일제강점기 부산영화

• 20세기 초에 서울과 거의 같은 시기에 부산에서 영화가 상영되었음

• 1920년대에 부산을 기반으로 한 영화제작사 설립

 

1950년대 부산영화

• 한국전쟁 당시 임시수도로서 부산은 한국영화의 중심지 역할을 담당하였음

• 국내 최초의 영화평론가협회가 설립된 도시(1958년:부산영화평론가협회)

• 국내 최초의 영화상을 개최한 도시(1958년:부일영화상)

 

1990년대 부산영화

•국내 최초의 국제 영화제를 개최한 도시(1996년)

•국내 최초로 영상위원회를 설립한 도시(1999년)

 

2000년대 부산영화

•촬영 스튜디오 등 영화 인프라 구축

•국내 최대의 예술영화전용관 건립(2011년)

•영화영상관련 기관 이전(2013년)



 

# 1-2 부산영화의 시작: 남포동 그리고 나운규

남포동, 부산영화의 출발지

• 부산 영화사 역시 상영으로부터 시작됨

• 1900년대 초 : 부산에서영화상영

• 지리적 요인으로 인해 서양 문물의 수입이 빨랐던 부산에서는 1900년대 초에 영화가 상영되었을 것으로 추정

 

일제 강점기 부산영화_ 나운규

나운규(1902~1937)

• 함경북도 회령 출신 /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감독 겸 배우

• <아리랑>(1926)년 연출

• 부산의 조선 키네마주식회사에서 단역배우로 영화계 입문

 

# 1-3 한국전쟁과 부산영화

• 남과 북에서 수 많은 피난민이 부산으로 몰려들었음

• 피난민의 사연과 그들이 거주하던 공간은 영화를 비롯한 한국의 대중문화의 소재가 되었음

• 한국전쟁과 관련된 부산의 대표공간

 - 영도: 이산가족의 만남의 장소

 - 40계단: 피난민거주지, 구호물자 거래 장터, 만남의 장소

 - 국제시장: 미군부대에서 흘러나온 물건을 거래하던 시장

 

• 부산영화평론가협회

 - 1958년 부산 영화평론가협회 결성

 - 평론 외에도 시나리오 교육, 제작 워크숍등 운영

 - 부일영화상 중단 이후 2000년 독자적으로 ‘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'을 제정,운영하고있음

 

• 부일영화상

 - 국내최초의영화상 / 1958년 제1회영화상 시상식 개최

 - 1973년 제16회를 끝으로 중단 되었다가 2008년, 35년만에 부활

 

# 2-1 부산국제영화제와 부산영화의 재도약

• 부산국제영화제

 - 부산영화사는 부산국제영화제 이전과이후로나뉨

 - 영화제의 성공에 힘입어 부산은 영화의 도시라는 새로운 도시 브랜드를 갖게 됨



 

•부산국제영화제의 성공요인

 - 비경쟁영화제 표방: 칸, 베니스, 베를린등 서구 영화제와 과도한 경쟁구도탈피

 - 아시아 영화 중심 영화제: ‘아시아영화의창'

 - 효율적인 민관협력 관계구축: “지원은하되간섭은하지않는다.”

 - 영화관객층의 증가

 - 후발영화제로서 차별화 성공

 - 부산의 지리적 이점

 

# 2-2 부산국제영화제의 성장, 위기, 그리고 극복

 

• 부산국제영화제 25년

 - 초청국: 55개국207편(1회) => 85개국299편(24회)

 - 관객수평균20만명/ 예산: 22억원(1회) => 약120억원(24회)

 

• ‘BIFF 사태’의 전개

 - 영화제에 대한 장기 감사 진행, 영화제 지원금 삭감

 - 영화제 상영작 등급 분류 면제규정 개정 추진

 - 부산국제영화제 임원진 검찰 고발

 - 부산국제영화제 위원장 재신임 거부

 

• BIFF 사태평가

 -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려는 전근대적시도의 실패

 - 문화예술계 ‘블랙리스트‘ 사건

 - BIFF의 대외적 신뢰도 상승

 - 영화제 민간이양으로 자율성과 독립성 확보

 - 영화제의 책임 강화

 

온라인 강의,온라인 공개강좌,학점은행제,부산과 영화,study,mooc,김이석교수,k-mooc,공부의 흔적,무크,

728x90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