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공부한 흔적/[K-MOOC] 스킨케어, 한의학과의 만남 (2022)

[K-MOOC] 스킨케어, 한의학과의 만남 11강 요약

by 비우내포 2022. 3. 19.
반응형

[K-MOOC] 스킨케어, 한의학과의 만남 11강

 
[K-MOOC] 스킨케어, 한의학과의 만남 바로가기
http://www.kmooc.kr/courses/course-v1:DHUk+DHUk13k+2021_T2/course/
 
# 11-1 경혈과 경락
1. 침구요법의 정의 및 원리
 - 경락과 피부는 침구 요법에 바탕이 되는 이론이다.
 - 음양오행학설과 장상학설, 경락학설을 통해 환자 상태를 변별한다.
 - 한의학에서 음과 양의 상태를 구분하고, 장부와 경락의 문제를 변별하여 물리적 자극을 준다.
 - 물리적 자극은 침, 뜸, 부항 등의 모든 수기요법을 이르는 말로 질병예방, 완화, 치료를 목적으로 한다.
 - 화학적 자극은 한약으로 볼 수 있으며, 한의학적 치료는 한약과 침, 구로 나눌 수 있다.
 - 침구요법은 물리적 자극이 주체이며 모든 수기요법을 포함한다.
 - 침구요법은 한방 도구의 개량과 발전으로 전침, 전열기구, 전기 뜸, 약침, 의료용 레이저 등을 포함한
   활용이 늘어나고 있다.
 - 현대적으로 경락학설의 기초 위에 해부생리지식을 결합하여 근육학, 신경학적 치료에 활용한다.
 - 침구요법의 원리는 마사지의 원리와 비슷하게 볼 수 있다.
 - 한의학 최고 고전인 황재내경에서 침을놓는 법도는 ‘조기’라하여 기를 조절하는 것이라 말한다.
 - 조기는 경락이나 오장육부에 있는 기의 불균형을 조절하며 불협조 상태를 협조 상태로 회복한다. 
 - 한방적으로 통증과 병증은 기의 운행이 정체된 것이라 보고 기의 운영은 다양한 치료방법을 통해 
   인체 각 기관 조직의 기능 실조 조절 치료가 목적이다.
 - 한방치료는 한의학적 기본 이론을 통해 환자상태를 변별하고 장부의 기운부족등을 변증하여, 
   경혈을 선택 후 어떤 물리적 자극을줄 것인지 결정하여 도구를사용하는데 이르기까지를 말한다.
 
2. 음양에 대한 개론
 - 음양은모든 것을포괄하고 있는개념이며 음과 양은 몸이 차고 더움으로 말할수 있다.
 - 음양은 한의학적 생리, 병리 기능으로 설명 가능하며 음양의 균형이 적절히 이루어져 몸은 
   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어야한다.
 - 오장육부 및 경락을 음과 양으로 구분하여 질병 발생을 조정을 통해 치료한다.
 - 음의 형태는 땅, 겨울, 여성, 추위, 내부, 어둠등을 의미하고 
   양은 하늘, 여름, 남성, 따뜻함, 외부, 밝음등을 의미한다.
 - 음이 부족하고 양이 과잉 되면 감정 흥분, 빠르고 강한 맥박, 찬 것을 찾음, 붉은 낯빛 등의 
   증상이 나타나고 양이 부족하고 음이 과잉 되면 의기소침, 흐리고 느린 맥박, 따뜻한 것을 찾음, 
   검은 낯빛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.
 
3. 장상학설 이란?
 - 장은 오장을 의미하고, 상은 몸 외부에 반영됨을 의미한다.
 - 장상학설은 인체의 외부 특징과 형상을 관찰하여 내부에 위치하는 장부의 생리기능 
   병리변화 및 관계를 연구하는 이론이다.
 - 장상학설의 일상적인 예시를보면 ‘간이 부었다.’, ‘간이 크다.’, ‘심지가굳다’, ‘비위가약하다’ 등이 있다. 
 - 장상학설의 한의학적 계통으로는 생물의 운동, 성장, 영양, 호흠,  배설로 나뉘며 이 기능을 
   오장의 계통으로 분류한다.
 - 간 기능계: 간, 담, 눈, 관절, 청색, 분노(怒), 신맛, 
   근/심기능계: 심, 소장, 혀, 혈맥, 적색, 기쁨(喜), 쓴맛, 혈맥
 - 비 기능계 : 비, 위, 입술, 기육, 황색, 사려 (思) , 단맛, 
   기육 / 폐 기능계 : 폐, 대장, 코, 피부, 백색,  슬픔(悲), 매운맛, 피부
 - 신 기능계: 신, 방광, 귀, 뼈, 흑색, 두려움(恐), 깐맛, 뼈
 
4. 경락과 경혈
 - 경락은몸 안에서 기혈이 순환하는 통로이며 곧게 가는줄기를 경맥이라하며, 
   경맥에서 나와 그물처럼 얽은 가지를 낙맥이라한다.
 - 경혈은 십사경맥에 속한혈자리를 의미하며 인체 장부 경락의 기혈이 출입하는 곳이다. 
 - 침을 놓거나 뜸을 뜨는자리이며 361 개가 존재한다.
 - 경혈은 경락을 통한 장부와 밀접한 관계로 침, 뜸, 등의 자극을통해 
   몸의 질병 치료 및 예방을 할 수 있는 혈이다.
 - 경혈 선정 시 근위 취혈법과 원위 취혈법으로 나뉘며, 취혈 시 체표표지법과 골도분촌법으로 나뉜다.
 - 체표표지법은 근육과 뼈, 관절, 피부주름등이 취혈의 기준이 되는 것이다.
 - 골도분촌법은 뼈와 관절로 표지를 만들어 신체의 장단대소를 구체적으로 측량하는 것이다.
 - 골도분촌법은 나이와 체형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취혈이 가능하다.



# 11-2 경락 체계
1. 경락이란?
 - 침구요법에 바탕이 되는이론이다.
 - 생리적 작용과 소통 및 조절하는 역할
   (내외, 표리, 상하소통 / 오장, 육부, 오관, 사지, 골격, 근육, 피부 연계)
 - 경락을통한 발병은 피부를통해 사기가 침입하여 경락순환기의 균형이 깨지고, 그로인해 기가 몸을
   보호하지 못해 사기가 경락을 통해 장부에 도달하게 되면 병증이 나타난다.
 - 경락에 의한 치료는그 반대로 장부의 기능을조절하게 되면 기가원활하게 순환하여 경락 기운순환 및 
   회복을 통한사기를 몰아낸다.
 - 경락에는 경맥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십이경맥이 있고, 육장육부를통한 경락을 배속한다. 
 - 십이경맥은 연계된 장부 및 분포부위에 따라 나누며, 이를 조합하여 12개로 나눈다.
 - 십이경맥의 이름에는 육장육부를 배속하며, 분포 위치, 양과 음의 속성을 나눠 이름을붙인다. 
 - 십이경맥은 계속적으로 순환하는 형태를 가진다.
 - 기경팔맥은 십이경맥과 별도로 순행하는 경맥이다.
 - 기경팔맥은 십이경맥을 보완하며 경맥 전체의 결합을 강화하고 균형 및 조절을 이룬다.
 - 기경팔맥 중 독맥과 임맥은 몸의 중심선을 순환하며 십이경맥과 함께 십사경맥으로 불린다.
 - 십사경맥은 몸 전체에 퍼져 있으며 영양공급, 노폐물 배출, 외부 침입을 방어한다.
 
2. 경락계통
 - 경락계통은 인체 내의 표리내외 및 상하좌우를 연계하고 전신의 오장육부, 체간과 사지, 근맥피부가
   통일적으로 조절 및 기화작용을 일으키는 계통이다.
 - 경락계통은 경맥, 락맥, 경근, 피부로 구성되어 있다.
 - 경맥은 십이정경, 기경팔맥, 십이경별로 나뉜다.
 - 락맥은 경맥에서 유래하여 얕은 곳으로 흐르는 지맥으로 별락, 손락, 부락, 혈락으로 나뉜다.
 - 락맥의 분류 중 부락은 경피에 영향을 준다.
 - 경근은 전신의 근육을 경맥의 순행 부위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운동계의 계통적인 분류로 활용 가능하다.
 - 경근은 십이경맥의 순행 부위에 따라 십이경근으로 나눈다. 발병 시 순행 부위를 따라 근골격계 병변이
   발생하고 이는 십이경근 자체의 병증과 경락을 통한 병증을 한의학적 이론으로 변별할 수 있다.
 - 한의학 내에서 운동계 질환은 경근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.
 - Anatomy Trains 에서는근육과근막은단일 근육개념이 아닌 서로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된 근막은 
   전신에 걸쳐 기능적 통합을 한다.
 - 그로 인해 병증 치료시에 기능계적으로 묶어서 국소 부위가아닌 전체적인 치료가 병행되어야한다.
 - 피부는 근육과 피부의 부위를 이르는 말이며 락맥 중부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.
 - 십이피부는 십이경맥의 순행 부위에 있는 피부의 부분이다.
 - 사기가 침입할때 장부와 경락의 병증을소속피부를보아 병의 소재를파악할수 있다.


# 11-3 경락과 피부
1. 경락진단
 - 경락을 통한 국소적인 피부를 보고 병을 진단하는 것을 의미한다.
 - 경락은 내속장부 외락지절이 전신을 다 포괄하고 연결, 조절하여 병의 사기를 전달한다.
 - 경락의 병증은 장부, 피부, 근육, 골격 기능 이상 증상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.
 - 피부는 한의학적 개념으로 장부와 연관하여 바라봐야 한다.
 - 순경진법은 경락의 체표 순행부위에 근거하여 나타나는 병증이 어느 경의 병변인지 진단하는 방법이다.
 - 의증변증진단법은 환자의 병증에 근거하여 병이 어느 경에 속하는지 변별하는 방법이다.
 - 경락진단은 피부색을 보고 판단 할 수 있으며, 청색, 적색, 황색, 백색, 흑색으로 분류할 수 있다.
 
2. 피부의 생리
 - 피부의 생리적 기능은사람을 싸고 있어 피부 자체를 보호하며, 수분을 배설하고, 기혈 순환, 
   외부 사기 침입을 방어해주는 역할을 한다.
 - 폐기가 주관하는 부위로 폐의 상태를 나타내는 곳이기도 하다. 폐기가 약하면 영양부족, 
   피부가 거칠어 검, 털이 마르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폐가 안 좋은상태를 의미하기 보단, 
   폐의 기운이 약하다고볼수 있다.
 - 피부의 색과 질감, 영양 상태도 한의학적 병리, 변증, 진단에 도움이 되며 임상관찰의 필수조건이다.
 - 피부의 나타나는 형태로 장부와 연관지어 병증을 확인, 판단할수 있다.
 
3. 십이경맥의 피부 활용
 - 십이경맥 중 피부미용에 가장 밀접한 경락의 활용이다.
 - 수태음폐경: 피부질환의 일차 고려
 - 족태음비경 : 피부의 영양상태
 - 족소음신경 : 부종, 탈모
 - 족궐음간경: 피부의 열증증상 (ex 여드름), 해독
 - 수소음심경: 스트레스성 질환
 
 

study,스킨케어 한의학과의 만남,mooc,온라인 강의,학점은행제,k-mooc,공부의 흔적, 대구한의대학교, 피부관리,한방 피부관리,스킨케어,한의학,경락,경혈

728x90
반응형

댓글